부동산지식쌓기/부동산내공쌓기

우리나라 등기부등본 공시력 인정 공신력 부정 개념 뜻 형식적심사주의 부동산 권리보험

집캐스트 2025. 1. 30.
반응형

등기는 부동산 거래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부동산 소유권이나 기타 권리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제도인 등기는 거래의 안정성과 투명성을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등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두 가지 개념이 바로 "공시력"과 "공신력"입니다. 이 중 공신력의 개념과 그것이 부정되는 이유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나라 등기부등본 공시력 인정 공신력 부정 개념 뜻 형식적심사주의  부동산 권리보험
등기부등본 공신력 부정

 

등기의 공신력은 등기된 내용에 바탕으로 등기를 신뢰한 제3자를 보호해주는 효력을 말하는데 등기 믿고 거래를 다 했는데 추후에 알고보니 무권리자였던거 였습니다 무효인 등기를 바탕으로 한 후속등기도 무효가 되다보니 등기 믿고 정상적 거래해도 억울한 사항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1년에 몇번씩 뉴스에 억울한 사항이 똑같이 나오는데요 케이스바이 케이스는 다르지만 누군가 아파트를 매수해서 잘살고 있는데 나중에 그 집 진정한 주인이 나타나서 너 그집에서 나가라 해서 알고보니 우리니라 등기부등본은 공신력이 없어서 쫓겨나는 억울한 케이스가 종종 뉴스에서 나옵니다 근데 이걸 진정명의 소유자 나를 대칭해서 말해보면 나는 서울에 있는 아파트가 한채 있고 지방에 파견나가서 거기서 월세 생활하고 있는데 그쪽집에 세살던 사기꾼이 사기쳐서 내집 아파트를 팔아버렸다면 내 아파트 억울하게 산 사람에거 억울하실텐데 제 아파트 그냥 가지세요 할수 있는 문제도 아닙니다 즉 한쪽만 편들수 있는 사항이 아닙니다

 

등기소에서는 형식적심사하다보니 요건만 맞으면 등기가 막 쉽게 넘어가다 보니 법률 개선을 통해서 원칙적으로 공신력을 인정하면서 또한 전국적으로 등기칠때 건당 보증보험 형식으로 비용을 1억에 만원 5억이면 5만원 돈 내서 이돈다 묶어 나따가 추후 사고 날때 보호해주는 프로그램도 필요할듯 합니다 모든 등기 치는 매수인 5만원 더 달라고 해도 다들 할꺼 같은데요

 

아무쪼록 지금은 개인이 조심할수 밖에 없는 사항인데요 아무쪼록 부동산 등기가 바뀐지 얼마 안데서 다시 나오는 매물은 정말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울러 요즘은 부동산 권리보험도 잘되있어서 걱정 많으신 분은 매매과정에서 함께 진행 알아보시고 하세요

1. 공시력과 공신력의 개념

공시력

 

공시력은 "외부에 공개되어 누구나 확인할 수 있는 힘"을 의미합니다. 부동산 등기는 공시력을 통해 그 부동산의 소유자나 권리자를 명확하게 알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가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면, 등기에 A의 이름이 적혀 있는 한 누구든지 A가 그 부동산의 소유자임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거래 상대방은 그 부동산의 권리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고 거래에 임할 수 있습니다.

 

공시력의 존재는 부동산 거래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모든 사람에게 공개된 정보로서, 거래에 있어 중요한 참고 자료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공시력은 "사실대로의 권리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즉, 등기에 적혀 있는 내용이 실제 권리 상태와 다를 수 있다는 점입니다.

 

공신력

 

공신력은 "등기된 내용을 신뢰한 자가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힘"을 뜻합니다. 즉, 부동산 거래 시 등기부에 적힌 내용을 그대로 신뢰한 사람이, 실제로 등기된 내용이 사실과 다르더라도 그 신뢰에 근거해 권리를 취득할 수 있는 힘을 말합니다. 공신력이 인정되는 경우, 잘못된 등기를 보고 부동산을 매수한 사람이라도 그 등기에 기초하여 부동산 소유권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동산의 경우, "점유"가 공신력을 가집니다. 점유란 어떤 물건을 직접적으로 관리하거나 지배하는 상태를 말하는데, 만약 B가 A의 동산을 탈취해 C에게 양도한다 하더라도, C는 그 물건의 점유 상태를 보고 이를 합법적으로 거래한 것으로 간주되어 소유권을 인정받게 됩니다. 이는 동산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거래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효과를 지닙니다.하지만 부동산 거래에서 등기의 공신력은 우리나라에서는 부정되고 있습니다. 즉, 부동산 거래 시 등기부에 적힌 내용을 보고 신뢰한 사람이 있더라도, 그 등기가 실제 권리 관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그 신뢰는 법적으로 보호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2. 공신력의 부정과 그 이유

등기의 공신력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등기에 기초한 부동산 거래에서 잘못된 등기를 믿고 거래한 사람이 권리를 취득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민법에서는 부동산 거래에서 등기의 공신력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진정한 권리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A의 부동산을 B가 위조된 서류 등을 통해 자신의 명의로 등기한 후, C에게 매도하여 등기이전을 한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때 C는 등기부에 적힌 내용을 신뢰하고 B로부터 부동산을 구매했으나, 실제 소유자는 A입니다. 이 경우 C는 B로부터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등기의 공신력이 부정되기 때문에, 잘못된 등기를 보고 신뢰한 C의 권리가 보호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이러한 제도는 부동산 거래에서 "진정한 권리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만약 등기의 공신력을 인정한다면, 잘못된 등기를 신뢰한 사람이 권리를 취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진정한 권리자는 자신의 권리를 빼앗기게 됩니다. 하지만 공신력을 부정함으로써, 진정한 권리자는 자신의 소유권을 지킬 수 있고, 그에 대한 법적 구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동적 안전과 정적 안전의 균형

등기의 공신력을 인정할지 여부는 동적 안전과 정적 안전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됩니다.

 

동적 안전: 거래의 상대방, 즉 부동산을 매수하는 자의 입장에서 안전성을 보장하는 개념입니다. 등기의 공신력을 인정하면, 매수자는 등기에 적힌 내용을 그대로 믿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으며, 거래 후에도 권리 취득이 보장됩니다.

 

정적 안전: 부동산의 원래 소유자, 즉 진정한 권리자를 보호하는 개념입니다. 공신력을 인정하지 않으면, 잘못된 등기로 인해 진정한 권리자가 부당하게 권리를 상실하지 않도록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개념은 서로 상충되는 면이 있습니다. 공신력을 인정하면 동적 안전이 보장되지만, 정적 안전이 훼손될 수 있고, 공신력을 부정하면 정적 안전이 보장되지만 동적 안전이 약화됩니다. 우리나라 법은 부동산 거래에서 정적 안전, 즉 진정한 권리자의 보호를 더 중시하여 등기의 공신력을 부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4. 공시력과 공신력의 차이

이제 공시력과 공신력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공시력은 등기된 권리 관계를 외부에 알리는 힘입니다. 누구든지 등기부를 통해 해당 부동산의 권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시력은 권리 관계를 명확히 하여 거래의 투명성을 높여줍니다.공신력은 등기된 내용을 신뢰한 자가 그 등기 내용을 근거로 권리를 취득할 수 있는 힘입니다. 만약 등기의 공신력이 인정된다면, 등기부에 적힌 내용이 사실과 다르더라도 그 내용을 믿고 거래한 사람은 법적으로 보호받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부동산 거래에서는 공신력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부동산 등기의 공신력 부정은 부동산 거래에서 진정한 권리자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적 장치입니다. 등기부에 기록된 내용이 실제 권리 상태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법은 등기부에 기재된 내용을 그대로 신뢰한 사람의 권리보다는, 그 부동산의 진정한 권리자의 권리를 더 우선적으로 보호하고 있습니다.부동산 거래에서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공시력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권리 관계를 확인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